여러 가지 raidcontroller 가 있지만, 엔지니어 생활 중 가장 많이 접하고 사용했던
LSI 사의 3108 칩셋을 사용하는 카드의 webbios를 구경해보겠다.
구경하는 김에 겸사겸사 raid 구성도 해보자~!
lsi 카드 정보를 읽어 온 후 webbios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Ctrl + R 조합키를 통해 진입할 수 있다.
LSI사는 avago에서 인수해서 lsi대신 avago라고 적혀 있다. 지금은 또 어디서 인수했는지 뭐했는지는 관심 없다.
일단 대충 보면 Raidcard bios version 은 6.36.00.3에 패키지 버전은 24.21.0 머 이렇단다. 뒤에 카드 진입 후 속성에서
조금 더 자세히 봐보도록 하자~!!
일단 battery status 부분은 현재 BBU가 장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missing이라고 떠있는 상태이다.
그렇다면 bbu란 무엇일까??
BBU ( battery backup unit ) : raidcard의 연결 후 갑작스러운 정전으로 인한 서버가 꺼졌을 경우
cache의 내용이 지워지지 않도록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.
정전 후 72시간 정도까지는 캐시 데이터를 보존한다. 그 이후로는 캐시에 있던 데이터들은 사라진다고 한다.
요즘엔 super cap이라는 반영구적인 제품도 있다. 위에 bbu는 배터리 이기 때문에 한 번씩 교체해줘야 한다고 한다.
여기선 일단 내가 구성해 놓은 raid가 있기 때문에 지우고 시작해보자~
위와 같이 컨트롤러 AVAGO 3108위 치에서 F2를 눌러 기존에 있던 raid볼륨을 clear 해주자.
yes를 선택 후 VD를 깔끔하게 날려주자~ 현재 raid구성이 1개만 돼있어서 avago 3108에서 F2를 누른 후 클리어를 했지만, 혹여나 다른 볼륨들이 더 구성되어있다면 drive group에서 f2를 누르면 delete drive group이 있으니 거기서 하자!!
안 그러면 모든 레이드 구성이 다 삭제된다~! 주의~~~~!
이제 새로운 VD를 구성해야 한다.
create virtual drive를 선택해준다.
현재 디스크가 TEST 할만한 것이 두 개뿐이어서 RAID Level에 RAID 5등 다른 종류는 보이지 않는다.
위와 같이 RAID 1을 클릭 후 구성해 보자.
RAID 1 1을 선택 후 아래와 같이 같이 구성할 디스크를 체크박스에서 선택 후 용량은 default로 하고 name은 본인이
보기 좋은 쪽으로 해준후 advanced창으로 이동~
저기서 많이 선택하는 것 중에 strip size도 있지만 write policy를 본인의 옵션대로 변경해주면 된다.
write back은 cache에 저장 후 disk로 저장하는 순서이다. bbu를 사용한다면 필히 이 옵션으로 사용해야 한다.
write through은 디스크에 바로 write 하는 방식이다.
그리고 initialize를 체크 후 ok
이제 끝이다 ok
이로써 구성은 잘 끝났다.
자 다음으로는 나머지 메뉴들도 한번 구경이나 해보자~
physical drive이다. 우측에는 디스크의 정보들이 있다.
contoller management
알람 및 jbod모드 등 여러 가지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..
마지막 속성으로 controller 상태 및 fw version 등 나와있다.
참고하면 될 것 같다.
그리고 마지막으로 hidden 메뉴가 있다. 컨트롤러 상태 이상 및 여러 가지 상황에서 발생하는데
테스트하고 있는 컨트롤러가 지극히 정상이라 캡처할 수가 없다 ㅠㅠ
parted - linux 파티션 설정 (0) | 2020.07.10 |
---|---|
lsi storcil - 사용법 (0) | 2020.07.09 |
raid란? raid 구성 살펴 보기 (6) | 2020.07.07 |
linux 기본 구성(cpu, mem, disk, network) 확인 방법 (4) | 2020.07.05 |
linux nouveau 제거 삭제 비활성화 (0) | 2020.07.02 |